사회과학15 사회과학 <경제학> 경제학은 자원이 제한된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다. 대부분 재화나 용역의 분배, 소비, 생산에 시점을 맞춘다. 비주류 경제학으로는 대표적으로 포스트 케인주의가 있으며 그 이외에도 신경경제학 등이 있다. 실증경제학은 무엇인가를 연구하는 반면 규범경제학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를 연구한다. 경제학의 학파에는 고전학파, 케인즈주의, 제도학파, 통화주의, 신고전파, 행동경제학, 신제도주의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 경제학은 모형의 단순화를 위해 이라는 전제하에서 모든 분석이 진행된다. 마르크스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배제를 추상이라 부른다 하지만 경제학자마다 분석 대상과 전제가 다르기에 그들이 주목하거나 과감히 배제해 버리는 부분은 모두 각자 다르다. 이러한 전제와 분석 대상의 차.. 2023. 11. 15. 사회과학 <지리학> 지리학 이란 ??? 지리(地理)라는 용어는 주역에서는 산천의 환경과 형세를 나타내는 말이었고, 구당서 오늘날의 지리학과 유사한 용례로 쓰였다. 영어에서 지리를 뜻하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고대 그리스어: γεωγραφία에서 유래하였다. 에라토스테네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땅을 뜻하는 "η γ η" (hê gê)와 기술(記述)을 뜻하는 "γραφειν"를 합친 용어다. 지리학은 공간 및 자연과 경제, 사회와의 관계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 분야로, 공간이나 자연 환경이라고 하는 물리적 존재를 대상 안에 포함하는 점에서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양면의 성격이 있다. 원래는 농경이나 전쟁, 통치를 위해 각지의 정보를 조사해 정리하기 위한 연구 영역으로서 성립했다. 그러나 현재는 자연과학 내지 사회과학의 한 분야.. 2023. 11. 14. 사회과학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래서 연구의 대상과 범위가 매우 넓다. 19세기 이후 학문으로서 체계화되었고, 미국과 유럽에서 서로 다른 관심을 갖고 진화되어 왔다. 오늘날 인류학은 어떤 학문보다 전문적인 여러 하위 학문으로 나뉘어 있다. 하위 학문으로는 고고학,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등이 있다. 형질인류학의 연구 분야에는 인간의 진화 그리고 기원을 다루는 분야와 현대 인류의 다양성을 연구하는 분야가 있다. 이 밖에도 민속학, 민족학 등등을 인류학에 포함하기도 한다. 오늘날 인류학이라고 하면 사회문화 인류학을 지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인류학과 연관된 사회나 문화를 중심으로 한 연구 분야는 많은 현대이론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으며 핵심적 기초과학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고고학은 .. 2023. 11. 14. 이전 1 2 3 4 다음